[겨자씨] 할머니 가방
어린 시절은 경제적으로 어려웠습니다. 그때는 심방이 일종의 잔치와도 같았습니다. 심방 대원은 목사님과 한 팀이 돼 교인 가정을 방문했습니다.
심방 예배를 마치면 집마다 심방 대원을 대접하는 문화도 있었습니다. 그래서 당시 심방은 잔칫상에 앉는 것과 같았습니다. 음식 대접만 하는 건 아니었습니다. 집주인은 정성껏 음식을 포장해 심방 대원들 손에 들려 보냈습니다. 심방 가방이 맛있는 음식 가방으로 변하곤 했지요.
아이들에게는 심방 음식을 먹는 게 적지 않은 기쁨이었습니다. 저도 마찬가지였습니다. 할머니가 심방을 다녀오면 그렇게 좋았습니다. 할머니도 좋았지만 가방에 담긴 음식을 기다렸던 겁니다. ‘오늘은 어떤 맛있는 음식이 담겨 있을까.’ 할머니의 가방은 어린 제게 설렘과도 같았습니다. 그런 설렘이 사라지고 있다는 생각을 하니 슬퍼집니다.
대강절은 기다림의 절기입니다. 기다림이 지침이 아닌 설렘이 될 수 있다면 우리 신앙은 아직 건강한 것입니다. 신앙에서 기다림은 매우 중요합니다. 기다리는 자만이 하나님의 역사를 만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조주희 목사(성암교회)
[출처] 국민일보(www.kmib.co.kr), 겨자씨
'국민일보 겨자씨 > 2024년 겨자씨'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겨자씨] 눈물보다는 땀을 (69) | 2024.12.03 |
---|---|
[겨자씨] 품어주시는 하나님 (66) | 2024.12.02 |
[겨자씨] 핑퐁으로 얻는 영생 (52) | 2024.11.29 |
[겨자씨] 뒷모습이 아름다운 사람 (56) | 2024.11.28 |
[겨자씨] 선을 지키는 사람들 (61) | 2024.11.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