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님의 사랑과 은혜
하나님께 영광을 ! 모든 것이 하나님의 뜻안에서 이루러진것을 감사합니다

여행 이야기/경상도 여행

상림공원, 천년의 숲, 함양여행

♥사랑 2025. 6. 15. 00:20

상림공원, 천년의 숲, 함양여행

상림은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 된 인공림으로 1,100여년의 역사와 문화를 간직하고 있어 "천년의 숲"이라 불린다. 신라 진성여왕때 고운 최치운 선생이 천령군(함양의 옛명칭)의 태수로 있으면서 백성을 재난으로 부터 보호하기 위해 조성하였다. 천연기념믈 제 154호로 약 64,000평의 면적에 120여종의 활엽수와 다양한 수종 2만여 그루가 1.6km의 둑을 따라 8020m폭으로 조성 되어 있다

대한민국의 천연기념물 제154호로 1962123일 지정되었다. 상림의 면적은 약 21 헥타르(ha)이고 갈참·졸참· 상수리·개서어개암나무 등 120종이 넘는 활엽수와 다양한 수종이 2만여 그루가 살고 있다.

일명 대관림(大舘林), 선림(仙林)이라고도 하는데, 한국에서 가장 오래된 인공림으로 식물학상으로도 좋은 연구 거리가 된다. 1,100여년의 역사와 문화를 간직하고 있어 "천년의 숲"이라고 불리고 있으며, 공원주변에 연꽃단지와 위천천의 맑은 물이 있어 많은 관광객이 찾고 있는 공원이다. 전형적인 온대남부 낙엽활엽수림으로 잘 보존되고 있어 인공 숲으로서의 역사적 학술적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

함양 상림의 유래는 신라 진성여왕때 고운 최치원 선생이 천령군(함양군의 옛명칭)의 태수로 있으면서 백성을 재난으로 부터 보호하기 위해 조성하였다.

당시에는 위천천이 함양읍 중앙을 흐르고 있었기 때문에 홍수가 빈번하였다. 이러한 피해를 막기 위해 강물을 돌리고 둑을 쌓고, 둑 옆에 나무를 심어 가꾸었다.

 

처음에는 대관림이라고 불렀으나, 이후 큰 홍수가 나서 중간부분이 유실되어 상림과 하림으로 나누어지게 되었다. 하림은 많이 훼손되었으나, 본래의 모습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는 부분의 이름만을 따서 상림이라고 부르게 되었다.

함양 상림에는 요모조모 둘러 볼 것이 많다. 함양읍성의 남문이었던 함화루, 이은리 냇가에서 옮겨온 이은리 석불, 최치원 선생을 기리는 사운정, 금호미 전설이 담긴 금호미다리, 함양을 빛낸 선인의 흉상과 공덕비가 있는 역사인물공원 등 함양의 역사를 찾아보는 재미도 쏠쏠하다.

상림의 아름다움은 봄에는 신록이 상큼한 파스텔톤의 수채화를, 여름에는 녹음이 짙은 서양화를, 가을에는 온 숲이 불타는 듯 단풍이 아름다운 한국화를, 겨울에는 숲 전체에 내려앉은 흰 눈이 눈부신 수묵화를 그려낸다.

감사합니다

건강하세요

행복하세요

사랑합니다

하나님은 당신을 사랑하십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