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달산 노적봉
해발(海拔) 60m의 바위로 이루어진 이 봉우리에는 1597년 10월부터 1598년2월까지 목포에 머물고
계시었던 충무공 이순신 장군의 슬기가 괴인 곳입니다 충무공께서는 적은 군세(軍勢)로 많은 왜적을
물리치기 위하여 이 봉우리를 짚 마름으로 덮어 군량미를 쌓아 놓은 보좌 봉처럼 꾸며서 우리의
군사(軍士)가 많은 것 같이 속여 왜군이 함부로 쳐들어오지 못하게 하였다는 것입니다.이러한 일이 있은
뒤로 이 봉우리의 이름을 노적봉으로 부르게 되었습니다
역사골목 여행, 목포 물장수, 옥단이 길, 소개
옥단이길은 목원동 역사골목 탐방로이다. 옥단이는 목포 원도심의 골목을 누비며 물장수로 살았던 실존
인물로 차범석의 희곡 옥단이의 주인공이기도 하다. 목원동은 목포역과 유달산 자락 사이에 형성된
근대도시 목포의 상징이자, 예향의 뿌리이다. 상가와 주거지를 연결하는 작은 골목길이 마치 심장의
혈관처럼 얽혀있고, 그 안에는 다양한 근대역사유적이 남아있다. 옥단이길을 따라 걷다보면 1897년
개항 이후 조선인들이 이룩한 근대도시 목포의 숨결을 느낄 수 있다.
유달산
해발 228m의 기암석으로 이루어진 유달산은 노령산맥의 맨 마지막 보우리이다.
유달산이야기 목포의 상징으로 높이는 228.3m백두대간과 호남정맥으로 이어지는영산기맥의 시작점이자 종착지이다. 유달산(儒達山)의 이름은 옛 문헌에 대부분 놋쇠 유(鍮)로 등장하지만 구한말에 선비 유(儒)로 바뀌었다. 조선시대 산 정상 부근에 봉수대가 있었고, 이순신 장군의 전설이 서린 노적봉 등 많은 문화유적이 산재해 있다. 유달산은 신선이 춤을 추는 듯한 모양을 갖추고 있고, 바닷가에 위치하며,정상에 오라
서면 목포 시내가 한눈에 내려다보이며 푸른 다도해의 경관이 시원스레 펼쳐져 있고 그 사이를 오고가는
크고 작은 선박들의 모습이 한폭의 동양화를 연상시킨다
사랑의 연리지
연리지(連理枝)란?
뿌리가 다른 나뭇가지들이 서로 엉켜 마치 한 나무처럼 자라는 것으로, 남녀 간의 사랑 혹은 짙은
부부애를 비유하는 말
목포의 눈물
가수 이난영
1916년 목포시 양동 출생으로 목포북교초등학교를 중퇴했다. 16살 때 삼천리 가극단장의 권유로
가수생활을 하다 OK레코드사의 이철 사장의 눈에 띄어 1935년〈목포의눈물>을 발표하면서 일약
대중적인 스타가 되었다. 오빠 이봉룡, 남편 김해송은 유명 작곡자이며, 자녀들도 '김시스터즈'등의
이름으로 미국에서 활동했다.
이난영 관련 장소 생가터 및 기념소공원(목포시 양동길 11-1)수목장 묘소(삼학도 내 난영공원)
조대 바위( 낚시터 바위)
고하도 앞바다에 낚시대를 드리워 놓고 팔장을 끼고 앉아 조용히 생각에잠겨있는낚시꾼 모양
목포 대교
목포 대교는 총 연장 4,129km, 너비 35~40m의 왕복 4차선 도로로 북항과 고하도를 잇는 해상교량으로
비상하는 '학'의 날개 처럼 아름다운 모습을 갖추고 있다
천자총통
천자총통은 명종10년 을묘년(1555년)에 만들었다는 명문이 있는것으로 조선시대만들 었던 총통중 가장
큰 규모이다. 고려말 최무선이 제작했던 대장군포를 발전시킨것으로 기본형태는 약통, 격목통, 부리의
세부분으로 나뉜다. 이 총통이 만들어진 1555년은 을묘왜변(乙卯倭變)이 5월에 있었던 해로 이 총통은
왜 인을 격퇴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해상전에서 적합한 대형화기의 개발과 생산이 절실하였던
시대적 배경에서 만들어 진 것으로추측된다. 이 총통은 우리나라 화기 중에서 명문이 명기된
최고(最古)의 것으로 학술적 가치가 극히 높은 국방과학문화재로, 우리나라 화기연구에서 표지 적인
위치를 차지한다
삼학도
한 청년을 사모한 세 여인이 죽어 학이 되었고 그 학이 떨어져 죽은 자리가 섬이 되었다는 삼학도는
세 개의 섬을 잇는 아담한 다리를 따라 거니는 산책로와 운치있는 밤 풍경을 만끽할 수 있다
감사합니다
공감 살짝 눌러주세요
감사합니다
'여행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안 천사대교, 천사섬, 신안 여행 (0) | 2019.05.05 |
---|---|
진안 용담호, 가위 박물관, 꽃잔디 동산. (0) | 2019.04.30 |
비비정, 만경강, 한내길, 전라선 철길 (0) | 2019.04.15 |
삼천포 아가씨, 노상공원, 용궁시장, 기차 여행 (0) | 2019.04.10 |
광양 와인동굴, 광양 가볼만한곳, 기차여행 (0) | 2019.04.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