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 덕진공원
전주시민들의 세대별 추억이 공존하는 대표적인 도시공원이다. 덕진연못은 후백제 견훤왕 시절, 도서방위를 위해
늪을 만들었다는 전설과도 같은 이야기가 전해오나 문헌이 없으니 설로 남았다. 『신증동국여지승람」에는 ‘부(府)의
서북방이공결(公缺)하여, 서쪽으로는 가련산으로부터 동으로 건지산까지 큰 둑을 쌓아 기운을 멈추게 하였다'고
적고 있어, 전주의 기맥을 지키는 풍수적의미로 태동했음을 알 수 있다.
오랜 세월동안 전국 최대 규모의 인파가 가히 장관을 이루었던 단오 물맞이의 명소이기도 하다. 여름이면 활짝 핀
연꽃이 수면을 가득 채우고, 시민들이 사랑한 문인들의 시비(詩碑)가 찾는 이의 마음 깊이 감성을 채워준다.
연꽃
진흙 속에서 자라면서도 고귀한 식물로 여러 나라 사람들에게 친근감을 주어온 식물로써 잎은 수렴제지혈제로
사용하거나 민간에서 오줌싸개 치료에 이용한다고 합니다
산림청 헬기가 지나가고 있네요
ㅇ 잉어
잉어목 잉어과의 민물고기
크 기 : 보통 50cm이고, 최대 120cm
산란시기 : 5월 ~ 6월,
서식장소 : 큰 강의 중하류나 호수,댐 , 늪 ,저수지 등 물이 많은 곳·
분포지역 : 거의 전세계에 분포
취 향정
취향정은 연꽃향에 취한다는 이름처럼 자연의 풍광을 오감으로 느낄 수 있는 최적의 쉼터이다. 그 시작이 안타까운 것은 1917년 전주지역의 대표적인 친일반민족행위자 박기순이 자신의 회갑을기념하며 세웠기 때문이다. 그는 덕진연못의
사설공원권을 장악하고 사람들을 모아 시회를여는 등 공간을 사유회하고 위락시설을 조성하고자 했었다.
당시에 시의 편액을 정자에 걸어 놓고 취향정기 비석을 세워 자신의 치적을 자랑하였다.
해방이후 전주시민들의 품으로 돌아온 취향정은 아픈 상처를 보듬는 치유의 장소로 났다.
청사초롱 트리
청사초롱 트리는 덕진공원의 새로운 야간경관을 연출하기 위해 전주시가 청년문화예술협동조합과 함께 2016년에
설치하였으며 우리나라의 전통 등인 청사초롱이 걸려 있는 트리 조형물이다. 청사초롱은 조선시대 후기부터
혼례식에 사용되었는데, 신랑이 신부 집으로 말을 타고 떠날 때와 신부가 가마를 타고시집을 을 때 길을 비춰주는
용도로 사용되었다. 이때, 청사초롱의 홍색은 양(陽)을 상징하며 청색은 음(陰)을상징한다. 예로부터 음양의 조화를
중요시 여겼던 우리나라의 풍습에 따라 혼례식에 사용되는 청사초롱에도이를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
덕진공원 연화교 재가설공사(드론 촬영)
●공사 명 : 덕진공원 연화교 개가설 공사
●공사목적 : 덕진공원 내 노후된 연화교를 전주 이미지에 맞는 전통양식의디자인 · 구조 형식으로 재가설하여 안전성
확보 및 관광 명소화 도모
●공사개요
교량공 : L=284.3m, B=3.0m
토 공 : 기존구조물(연화교) 철거, 가도 설치 및 사토(22,360㎡)
부대공 : 교량기초 24개소, 석재 외장 및 포장(1,782㎡)
조경공 : 잔디(1,120㎡) 외 6종(2,329주) 식재
●공사기간 : 2018. 11, 28 ~ 2020, 07.
연꽃
■분 류 : 수련과
■ 원산지 : 아시아 남부, 오스트레일리아 북부
■ 서식장소 : 연못(6월 말 ~ 8월 중순 개화)
■ 크기
- 잎 지름 : 약 40cm, 잎자루 높이 : 1~2m
- 꽃 지름 : 15~20cm, 꽃 지름 : 약 10cm
■ 무더위와 장마의 와중에 피는 꽃이 연꽃이다. 연꽃은 둥글고 원만하다. 예로부터 학자들은 연꽃을 군자의 성품으로
비유했다. 덕진연못의 연꽃은 진한 연분홍빛의 홍련이 주인공이다. 덕진연못의 연꽃구경을
덕진채련( 덕진에서연꽃을 감상한다)이라고 했다. 덕진연못은 연꽃 만나러 가는 7월이면 장엄한 홍련의바다가 된다.
벽진 폭포
덕진공원연못에는 물닭, 해오라기, 자라등이있어요
연의 땅속 줄기는 연근이라고 하며 비타민과 미네랄의 함량이 비교적 높아 요리에 많이 이용합니다
논병아리 (황새목 논병아리과의 조류)
크 기 : 26cm
생활양식 : 무리생활, 1회에 3~6개의 알을 낳을음
몸의빛깔 : 갈색(겨울깃), 어두운 갈색(여름깃)
서식장소 : 하천, 호수, 저수지, 연못 · 물웅덩이
분포지역 : 태평양 연안 아프리카
감사합니다.
평안함과 기쁨이 두 배가 되시길 소망합니다.
'여행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세계문화유산 고창 고인돌유적, 람사르습지 (0) | 2020.08.03 |
---|---|
전통한옥 아흔 아홉칸집 김명관 고택 (0) | 2020.07.29 |
무주와인동굴, 적상산 조선왕조실록 사고 (0) | 2020.07.19 |
고군산군도 선유도 (0) | 2020.07.14 |
국립공원 덕유산 향적봉 (0) | 2020.07.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