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국지사 · 한글학자 건재 정인승
정인승(1897. 5. 19~1986, 7. 7) 선생은 대한제국이 성립되던 해인 1897년에 장수군 계북면에서 태어났다.
건재 선생은 향리에서 한학자 한응수에게 한문을 익혔으며 이후 전북 진안군에 있는 용담공립보통학교
2학년에 편입하여 학업을 계속했다.
보통하교 졸업 후에는 서울에서 연정학원과 중동학교를 거쳐 내자동에 있는 종교예배당 영어 강습소에서 영어를
배우기도하였다. 그 무렵 일제의 정치적 압박과 경제적 수탈은 더욱 가혹해 졌고, 특히 문화말살정책을 펴면서
억압의 강도는 더욱 거세였다.
이에 건재 선생은 일제의 이러한 문화말살정책에 대항하여 우리 고유 문화의 파멸을 막는 방법은 우리 고유의 말과
글을 지키고연구하는 것이라고 판단하여 연희전문학교 문과에 입학, 한글 연구에 진력하였다.
1925년 연희전문학교 문과를 졸업한 건재 선생은 같은 해 4월부터 전북 고창고등보통학교의 교사로 임용되었다.
그러나 일제의 감시와 방해로 인해 한글 교육을못하게 되자 1935년 사직했다. 1936년부터 조선어학회 (한글 학회의 전신)에서 큰사전편집주간을 맡았던 전재 선생은 1942년 조선어학회 사건으로 함흥형무소에 수감되어옥고를 치렀다.
1945년 광복과 함께 풀려난 건재 선생은 조선어학회의 사전 편찬 사업을계승하여 진행된 한글학회의 큰사전
(전6권) 편찬을 1957년 10월까지 주재하여건국대학교에서 한글 연구와 후진 양성에 일생을 바쳤다.
정부에서는 건재 선생의 공훈을 기리어 1962년 건국훈장 독립장을 수여하였다.
" 말과 글을 잃게 되면그 나라 그 민족은 영영 사라지고 만다"
이곳 토옥동은 자수명한 천혜의 휴양지이다 구절양장 구비돌아 남덕우에 오르면 전라 경상 충청 삼도계가 분명하고
계곡물 모여들어 양악제 푸른물에 연비어약 절경 이뤄 백만인의 식수원 용담댐에 보내진다.
문태서 박춘실 의병대장이 칠백군사를 모아 왜구를 무찌르던 전적지엔 피의유령인 듯 산화가 불타오르고 한글학자
정인승 선생고택에는 돌담사이로 꽃길이 의연하다 조상이 물려주신 청정지역을 내몸 처럼 아끼고 가꾸어 길이
후손에게 천연 그대로를 전해주고 물려 주고자 한다
산 좋고 물 고아 솔개 날고 고기 뛴다
덕유산국립공원 영내에 있는 토옥동 계곡은 골이 깊고 개발이되지 않아 아직도 자연의 모습 그대로 담고 있다
암벽사이로 떨어져 내리는 작은 폭포의 하얀 물줄기를 쏟아내며 절경을 이룬다
장수군 계북면 양악리
이 시설물은 재난을 예방하여 장수군민의 안전을 지키기 위하여 설치한 재난 예·경보시스템입니다.
출입금지(제한) 구역
구 간 [단속지역] : 토옥동(현위치] ~ 월성치구간)
기 간 : 2017. 3. 1 ~ 별도 해제 공고 시 까지
목적 및 벌칙 : 이 지역은 자연자원 보호 및 산불예방을 위하여 자연공원법 제28조에 의거 출입이 금지되고
있는지역 샛길)입니다..
덕유산국립공원사무소
방문하여 주셔서 감사합니다
8월이 집중호우로 빛을 잃고 있어요. 비 피해 없으시기를 기원합니다
건강한 여름 보내시길 바랍니다
'여행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보석박물관, 화석전시관 (0) | 2020.08.17 |
---|---|
유네스코 세계유산 한국의 서원 무성서원 (0) | 2020.08.12 |
세계문화유산 고창 고인돌유적, 람사르습지 (0) | 2020.08.03 |
전통한옥 아흔 아홉칸집 김명관 고택 (0) | 2020.07.29 |
전주 덕진공원 (0) | 2020.07.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