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님의 사랑과 은혜
하나님께 영광을 ! 모든 것이 하나님의 뜻안에서 이루러진것을 감사합니다

여행 이야기

군산 금강 철새 조망대,서천 금강 조류생태 전시관

♥사랑 2020. 1. 21. 03:00

군산금강 철새 조망대

철새의 이동코스는 대부분 북반구의 고위도에 있는 번식지에서 저위도에 있는 월동지를 남북으로

연결한다. 이것은 지구상의 대륙이 북반구에 치우쳐서 분포해 남반구에 고도의 대륙지역이

적기 때문이다. 철새이동의 주요경로를 보면, 얼핏 남북으로 직선적 최단 코스를 선택하고 있는 것

같지만 잘보면 대부분의 철새는 이동에 장애가 되는 7~800 미터의 산맥과 대양을 피해서 건너고 있다.

상설 전시관

철새들의 정보검색대와 조류의 학습패널공간과 금강을 찾아오는 철새 소리를 직접 들을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어 있습니다

수족관 동물표본실

금강에 서식하는 민물고기와 희귀어류등을 볼수 있고, 아프거나 자연사로 죽은 동물들을

 박제한 표본실입니다

겨울철새 

 봄부터 여름에 걸쳐 주로 시베리아 등지에서 번식하고 가을 를 찾아와 겨울을 나며 봄이 되면 북으로

돌아가는 새, 대표적인 새로는 기러기류, 오리류, 고니류, 두루미류 등이 있다고 합니다.

여름철새

봄에 동남아시아 등 남쪽으로부터 찾아와 우리나라에서 번식하고 가을에는 다시 남쪽으로 이동하는 새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주로 4월말에서 5월 초순부터 9월 초중순까지 머문다. 대표적인 새들로

꾀꼬리, 뻐꾸기, 제비 백로류 등이 있다고 합니다.

나그네 새

우리나라 북쪽에서 번식하고 우리나라 남쪽에서 겨울을 나는 새로써 우 리나라는 봄과 가을에 북상

또는 남하하기 위해 거쳐 간다.통과철새라고도 하며 도요새나 물떼새류가 대표적입니다.



11층 조망대

금강의 아름다운 전경과 철새를 관찰할 수 있도록 만원경이 설치되어 있습니다

망원경은 이용료 무료입니다


금강의 상류

강 상류는 지질구조와 지형이 복잡하며, 험준한 산지가 발달해 있다. 이들 산지 사이로 하천들이

흐르고 있어 자연경관이 뛰어나다. 강수량은 상류지역은 비가 많이 오는 지역이며, 여름철 강수

집중률이60%를 넘고, 하천의 경사가 급하다고 합니다.

금강 상류지역에 속하는 무주군 지역에는 감돌고기 · 금강모치 · 구구리 돌상어 · 어름치 등은 우리나라

특산 어종으로서 그 분포의 최남단을 이루어 생태학적 · 지리학적으로 매우 중요한 의미가 있습니다.

금강 조류 공원

물새장, 산새장, 소조장(앵무새등) 산림욕을 즐길수 있는 산책로 등을 갖춘 생태체험학숩 시설입니다

금강하구를 찾는 천연기념물

산과 강이 오염되면서 새들이 사라져가자 문화재청에서 천연기념물을 법으로 정해 보호하고 있다

이중 금강하구에서는 대략 6종의 천연기념물이 발견되고 있으며 자연환경보전법 제 11조의

규정에 의해 강력하게 보호되고 있다고합니다

6종류의 새

개리, 고니. 큰고니, 검은머리물떼새, 노랑부리백로, 황조롱이가 있습니다



부화체험관

부화의 상징성을 반영한 전국 최초의 알모양 건물로 새들이 알에서 깨어나서

자라는 과장을 볼 수 있습니다

철새 신체탐험관

가창오리의 모습을 재현한 내부 구조로 기낭, 모래주머니등을 직접 보고 체험할 수 있습니다


가창오리의 내부 구조로 기낭, 모래주머니

하굿둑 상 ·하부금강하구에는 바닷물의 역류를 막기 위해 둑이 설치되어 있다.

이 하굿둑을 경계로 상부와 하부에는 각기 다른 환경이 펼쳐진다.

하부는 조수의 영향을 받는 곳으로 조수 차에 따라 사구와 갯벌이 많다. 특히 하굿둑 아래

지역은 간조 시에 갯벌이 형성되어 철새 및 나그네새의 중요한 먹이 공급지로 이용되고 있습니다.

하굿둑 상부 지역에는 토사가 퇴적 되어 형성된 섬(하중도)이 다수 분포한다. 갈대밭이 펼쳐진

하중도와 주변 농경지는 철새의 서식에 유리한 환경을 제공하고 있다. 금강대교 너머의

신성리갈대밭은 우리나라 4대 갈대밭의 하나로 천혜의 철새 서식지이다.

겨울이면 청둥오리, 가창오리 수십만 마리가 찾아와 겨울을 나고 있다고 합니다.

감사합니다

공감 살짝 눌러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