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님의 사랑과 은혜
하나님께 영광을 ! 모든 것이 하나님의 뜻안에서 이루러진것을 감사합니다

여행 이야기/전라도 여행

순천 낙안읍성, 순천시티투어

♥사랑 2025. 2. 5. 00:10

순천 낙안읍성, 순천시티투어

역사와 전통 민속문화가 어우러진 순천낙안읍성은 조선시대 대표적인 지방계획도시로 대한민국 3대 읍성중 하나이다. 현재 세계문화유산으로 잠정 등재되어 있으며, CNN선정 대한민국 대표 관광지 중 하나다. 전통공연과 다양한 민속체험, 민박체험도 가능해 가족과 함께 조상들의 숨결과 아름다운 정취를 느껴보기에 아주 좋은 관광지이다

순천시 낙안면 쌍청루길 157-3

순천 낙안읍성은 현존하는 조선시대의 읍성들 가운데 원형이 가장 잘보존된 곳으로 특히 성 안에는 전통적인 가옥들이 그대로 남아있다삼한시대엔 마한, 삼국시대엔 파지성, 고려말 이후부터는 낙안군지역으로 성곽은 조선 태조 6(1397) 낙안출신, 전라도 수군도절제사 양혜공, 김 빈길 장군이 왜구의 침입에 맞서기 위해 흙으로 쌓았고, 석성으로 중수된 것은 그로부터 약 300년 후인 인조 4(1626) 충민공 임경업 장군이낙안군수로 부임한 이후 라고 한다.

낙안객사

객사(客舍) = 낙안지관(樂安之館)는 왕명으로 오는 사진들과 고을 찾아오는 기타 관리나 외빈들이머물다 갔던 곳으로, 고을의 가장 으뜸이 되는 건물로 동헌보다 격이 높아 낙안읍성 내() 가장 중앙 상단에 위치하고 있다낙안객사(客舍)1450(세종32)에 군수 이인(李茵)이 건립한 후1631(인조9)과 1857(철종8)에 중수하였다. 현재는 객사 본전만 남아있어 전체적인 모습은 알수 없으나 1900년대 초까지는 남아있었다고 하며, 1909년 이후 낙안초등학교 건물로 사용되다가 1982년 이후 현재에 이르고 있다.

낙안객사는 동쪽 방은 문관(文官동반)이 서쪽 방은 무관(武官=서반)의 숙소로 사용되었으며 객사중앙 마루에서는 궐패(闕牌)와 전패(殿牌)를 모시거나 고을의 대소사시 향궐망배례(向闕望拜禮)를 행하던 곳이다.

건물형태는 정면 7, 측면3칸으로 완벽한 좌우 대칭으로 되어 있으며, 본사의 경우 맞배지붕이고, 양날개는 팔작지붕이다.

 

 

동헌

이 건물은 조선시대 지방관아 건물로서 감사(監司), 병사(兵使), 수사(水使),수령(守令) 등이

지방행정과 송사(訟事)를 처리하던 곳으로 동쪽은 수령 서쪽은 관리, 중앙마루는 송사를 다루던 곳으로 사용했다지금의 동헌(東軒)=사무당(使無堂)1990년에 정면5, 측면3칸의 팔작지붕 형태로 복원되었다.

한편 동헌은 사무당이라고도 불리는 사무(使無)는 논어 안연편에 이르기를 지방 수령이 송사까지책임을 지고 있어 더러 백성의 피해가 많아 권력을 남용하거나 백성들을 함부로 하지 않겠다는 뜻으로, 이를 낙안읍성 당호에 담고 있다.

전통혼례의 의미

원래 혼인의 혼()자는 혼()에서 유래한 젓으로 혼례는 어두울 때 행하는 것이 예로 되어 있습니다.

대대 례" 라는 고서에 따르면 관혼은 사람의 시작이라 하여, 혼인은 곧 인륜의 시초라 하였습니다

인륜지 대사요, 만복의 근원인 우리의 전통혼례는 단순한 남녀간의 만남을 넘어서 사회 공동체의일원으로 서 첫걸음을 내딛는 인륜의 출발점으로 여졌습니다.

전통혼례의 절차 전통혼례의 절차는 양가의 혼담과 혼례의사를 문는"의혼, 혼약이 이루어져 사주를 보내고 연길을 청하 는 남채" 신부용 혼수와 혼서 및 물목을 넣은 혼수함을 보내는"납폐", 그리고 신랑이 신부 집에 가서 혼례를 치르고 신부를 맞아오는 예로서 지금의 결혼식의 의미를 갖는 친영" 의 절차로 이루어 집니다.

친영은 전안례(奠雁禮), 교배례(交排禮),합근례.(合卺禮)의 순서로 행하여지며, 주례자가 홀기(笏記)에 따

라 식을 진행합니다.

읍성 전체 모양은 장방향으로, 성곽 길이는 1.410m이고, 전체 면적은 223, 108이다. ··남쪽 3곳에는 성안의 큰 도로와 서로 연결된문이 있고, 4군데의 치성이 있어 적의 공격을 효과적 으로 어하기 위한 선조들의 우수한 지혜를 엿볼 수 있다.

대장금은 조선조 중종 대에 활약했던 한 여성의 성공이야기를 다룬 드라마로서 20039 15일부터 2004330일까지 방영되었다. 15세기 조선의 궁중에는 수많은 직분의 여성들있었고 엄격한 궁중의 법과 제도하에서 각기 침방 세담방, 대비전 후궁전 등의 일을 맡아 했던 조선 시대의 양반들이 차지했던 의관 자리를 장금이라는 주인공의 파란만장한 생애를 통해 의술 인으로 거듭나는 한여성의 성공적인 사례를 담은 이야기이다

성 안에는 90여 가구의 민가가 있는데 실제로 주민이 거주하고 있어 그가치를 더하고 있으며 , 보통 1가구당 2-3채의 초가집과 마당, 텃밭으로구성되었다. 초가집은 3칸 정도의 일자형 안채와 아래 채, 그리고 농기구등을 보관하거나 외양간으로 겸용하는 헛간채와 재래변소로 이용하는잿간으로 이루어졌다.

감사합니다

건강하세요

행복하세요

사랑합니다

하나님은 당신을 사랑하십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