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한루원(廣寒樓苑명승 제33호)
광한루원에는 호수(연지)와 호수속의 삼신산으로 영주섬(영주각), 봉래섬, 방장섬(방장정) 오작교 지기석,
상한사, 돌자라가 놓여있어 광한루원의 구성은 은하세계, 즉 천체우주, 달의궁전을 상징하고 있다.
평양 부벽루, 진주 촉석루, 밀양 영남루, 남원광한루가 우리나라 4대 누각으로 불러지며 그 중 으뜸은
광한루다
인공의 조원공간으로 경내에는 32종 55,600여 주의 수목이 조원되어 있으며 또한 잔디공간은 지형을
낮게 변화시켜 다양성을 유지하여 걷는 방향에 따라 시각의 변화가 흥미롭고 완월정에서는 누원전체를
조망할 수 있는 좋은 경관을 이루고 있다.
1, 광한루 2.춘향사당 3, 춘향관 4. 오작교 5, 방장정 6, 봉래섬 7, 영주각
8, 완월정 9, 월매집 10, 관리사무소 11. 정문 12.북문 13, 서문 14. 동문
15.상가 16. 화장실 17.광장 주차장 18. 서문 주차장 19. 전통놀이 체험장
20. 관광안내소
춘향이외 이도령
여기에 웬 토끼?
오작교
광한루 하면 오작교 오작교 하면 금붕어가 생각나지요
엄청 큰 금붕어 입니다
오작교(烏鵲橋)
지리산 천 갈래의 계곡물이 모여 강이 된 요천강의 물을 받아 만든 연못전체의 은하수를 상징에 견우와
직녀의 전설이 담긴 오작교를 놓아성춘향(成春香)과 이도령(李道令)의 사랑이 얽혀 내려오고 있으며
1년에 한번만 밟으면 부부간의 금슬이 좋아지고 자녀가 복을 받는다는 전설이 전해오고 있다
광한루
춘향전으로 한층 유명해진 광한루는 황희정승이 1419년에 「광통루」를 세우고 세종 16년(1434)에
중건되고 정인지에 의해「광한루」라 개칭 (1444)되었다 그 후 정유재란 때 전소되어 인조 4년(1626)에
남원부사 신감으로부터 복원되어 오늘에 전한다. 선조 때 남원부사 장의국이 요천으로부터 물을 끌어들여
광한루 전면 동서 양편에 평호(平湖)를 만들어 은하수를 상징하게 하였으며, 못 안에는 삼신도를 만들어
한 섬 방자섬에는 대나무를 , 한 섬(봉래섬0)에는 백일홍을 심고, 나머지 한 섬(영주섬)에는 연정(蓮亭을
지었다. 또 가운데어는 하화를 심고 못을 가로지르는 오작교(烏鵲橋)를 놓았다, 연못을 앞에 둔 누각으로
마루주위에 난간을 둘렀고 본채 동쪽에 연접된 두 칸의 부속건물은 정조때(1776-1800)에 증축한 것이다.
기둥위의 공포양식이 주심포집에 다포집 계통을 절충한 특수한 건물인데, 건축 양식보다 춘향과 이도령의
아름다운 인연이 얽힌 전설적인 누각으로 더 알려져 있다.
춘향사당
열녀 춘향의 굳은 절개를 영원히흠모하기 위해서 건립된(1931) 사당이며, 입구대문은 '임 향한 일편단심을
줄여 단심문이라 칭한다. 사당의 중앙에는 열녀춘향사라는 현판이 있고 안에는 춘향의 영정이 안치
되어 있으며 이 사당에서 축원을 빌면 백년가약이 이루어진다고 하여 참배'객이 늘고 있다.
이러한 춘향사는 1931년 일제강점기에 남원의 유지들이 주축이 되어 권번의 기생들과 힘을 합하여 민족
의식 고취와 춘향의 절개를 이어받고자 설립하고 제사를 지내게 되었다.
춘향영정
최초 영정은 진주사람 강주수가 그려 기증하고 1939년 가을 이당 김은호가 그린 영정을 나란히 봉안
하였으나 6.25 중에 훼손되어 1961년 기증받은 이당 김은호 화백이 그린 춘향의 영저이 현재까지
봉안되고 있다
자라돌
완월정(玩月亭)
옛날 옥황상제가 계신 옥경에는 광한전이 있으며, 그 아래 오작교와 은하수가 굽이치고 선녀들이 계관의
절경 속에서 즐겼다는 전설이있다. 이 전설에 따라 광한루는 천상의 광한전을 재현한 것이며, 이완월정은 지상인이 달나라를 즐기기 위하여 전통 조선식 누각을 세워 광한루원의 절경을 한층 돋보이게 하고
있으며 해마다 이 누각 수중무대에서 우리나라 대표적인 민속 축제인 춘향제가 열리고 있다.
월매집
조선시대 우리나라 고전 '춘향전'의 무대가 된 집이다.
남원부사의 아들 이몽룡이 광한루 구경길에 올랐을 때 그네를 뛰고 있던 성춘향에게 반해, 춘향이 살고 있는 월매집 부용당에서 백년가약을 맺은 집으로 춘향 어머니의 이름을 따서 '월매집'이라고 하였다
부 용 당
춘향과 이도령이 백년가약을 맺은 장소입니다
월매방
이도령이 한양으로 떠나기 전 날 밤에 춘향이의 치마에
변치 않는 사랑을 약속하며 글을 쓰고 있는 장면입니다
부엌
방자가 부엌에서 설거지를 하고 있는 향단이에세 장난치고 있는 모습입니다.
춘향 이야기(春香스토리)
전라도 남원의 성춘향이 광한루에 그네를 타러 나갔다가 사또의 아들 이몽룡을 만나 인연을 맺고 평생을
같이하기로 약속한다. 두 사람이 다른 사람의 눈을 피해 남모르는 사랑을 계속하던 중 사또가 서울로
자리를 옮기게 되면서 서로 헤어지게 된다.
춘향은 지조를 지키느라 다른 사람을 만나려 하지 않지만 새로 부임한 사또는 춘향에게 수청을 들라고
강요한다. 춘향은 죽기를 무릅쓰고 신관사도의 요구를 거절하다가 옥에 갇혀 죽을 위험에 처한다.
이때 암행어사가 되어 내려온 이몽룡이 춘향의 목숨을 구하고 함께 서울로 올라가 평생을 행복하게
살았다는 이야기이다
춘 향 관
고전 소설 춘양을 디지털 병풍속 이미지를 통해 만날 수 있는 곳으로, 춘향제 역사를 담은 포스터와 사진, 춘향전을 기반으로 제작된 영화, 뮤지컬, 오페라, 창극등, 춘향 관련 다양한 정보를 제공 하고 있습니다
'여행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주 첫 마중길,빛의 거리로 변신한 첫마중길 (0) | 2019.01.18 |
---|---|
세계유일의 가위박물관 (0) | 2019.01.17 |
건지산, 전북대학교 , 전주천년고도옛길 (0) | 2019.01.15 |
비비정 농가레스토랑, 비비정 마을웨딩 (0) | 2019.01.14 |
오희도와 인조의 숨결이 깃든 명옥헌 (0) | 2019.01.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