둔데기마을은 전라북도 임실군 오수면에 위치한 작고 조그마한 마을로 천년의 역사를 품고 있는 소박한
마을입니다. 자그마한 마을이지만 아름다운 산과 주위의 멋진 자연경관이 어우러진 아늑하고 포근한
마을입니다. 소박하지만 넉넉한 인심을 가진 데기마을사람들과 함께 풍성함을 나누시길 바랍니다
♧ "둔데기"란?? 둔데기는 언덕이라는뜻을 가진 "둔덕"의사투리입니다.
◎교통편
○ 버스 : 오수터미널 → 동촌마을(10분소요)하차 → 이웅재고가
○ 택시 : 오수역 →이웅재고가 5분소요(택시비 8,000원)
오수터미널→ 이웅재고가 5분소요 (택시비 8,000원)
○ 자가용
오수IC → 오수천따라 (10분소요 )→ 이웅재 고가
남원 IC →오수면(15분소요)→이웅재고가
생생 문화재 소개
1. 우리 나라는 전국토가 박물관이다
오랜 역사와 수많은 문화재를 보유한 대한 민국, 하지만 현재 우리 삶에서 문화재는 어떤 의미 일까요
2. 그저 멀리서만 바라보고 듣는 지루한 옛날이야기
혹시 망가질지 모르니깐 조심해야 하고, 지역을 개발하고 발전하는도ㅔ 방해만 되는가?
3. 이러한 편견은 문화재가 삶을 좀더 행복하게 그리고 풍성하게 만들기 보다는
멀리서 바라보고 보호해야 하는 존재로만 인식되었기 때문이 아닐까요?
4. 문화재청은 우리 국민이 이러한 편견에서 벗어나 문화재의 참된 가치와 의미를 발견하고, 가까이에서
로 즐길수 있도록 지난2008년부터 [생생문화재]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고 합니다
5. 문화재 문턱은 낮게! 프로그램 품격은 높게! 국민행복은 크게!
문화재 사업이란 ?
문화재청,지방자치단체가 서로 힘을 합쳐 다양한 콘텐츠를 국민이 향유할 수 있도록 문화재청의
대표적인 지역 문화재 활용사업을을 하고 있습니다
6. 진행된 생생문화재 프로그램 280개
생생문화재를 즐긴 사람들 30만명
생생문화재를 이끌어건 사람들 2016년기준 1만 6천명
7. 공연 체험, 답사, 교육, 축제등 오감을 즐겁게 하는 다채로운 구성으로 국민에게 문화재를 경험하는
새로운 기준을 제시한 [생생문화재]
8. 어제를 담아 내일에 전하는 일을 잘하는 2019년 생생문화재를 즐겨보지 않을래요
오수천
참 아름다워라 주님의 세계는 저 솔로몬의 옷보다 더 고운 백합화
주 찬송하는 듯 저 맑은 새소리 내 아버지의 지으신 그 솜씨 깊도다
오수천을 따라 이웅재 고가를 오다보면 군데 군데 아름다운 바위 들이 있고 하천을 따라
산책로가 잘 조성 되어 있습니다
풍욕정
2. 참 아름다워라 주님의 세계는 저 아침해와 저녁놀 밤 하늘 빛난별
망망한 바다와 늘 푸른 봉우리 다 주하나님 영광을 잘 드러내도다.
3. 참 아름다워라 주님의 세계는 저산에 부는 바람과 잔잔한 시냇물
그 소리 가운데 주 음성 들리니 주 하나님의 큰 뜻을 나 알듯하도다. 아멘
둔덕리 이정표
둔데기 농어촌 체험 휴양 마을 안내도
둔데기마을 사람들
둔덕리 일대는 마을 뒤로 장성산이 병풍처럼 드리워져 있고, 섬진강
상류의 큰 시냇물이 넓은 들녘을 가로지르고 있어 전형적인 배산임수의
길지(吉地)로써 여러 이름있는 가문들이 집성촌을 이루고 있습니다.
고려 초부터 진주하씨, 남원양씨, 흥성장씨, 순천김씨, 삭령 최씨 등이 입향
하였으며, 조선조 초기에는 전주이씨가 입향하여 그 세를 늘렸습니다.
현재 동촌마을에는 37세대 62명의 주민이 옹기종기 살고 있으며 꽃심지
둔데기 농촌체험휴양마을로 지정되어 둔데기방문자센터가 자리하고 있습
니다. 주민화합과 마을공동체 활성화를 위해 둔데기마을학교를 운영하며
백중놀이마을축제, 마을노래합창, 다듬이공연 등 다양한 전통문화 학습을
통해 삼계강사의 교육적 가치를 되새기고 마을의 활력을 불어넣고 있습니다
둔데기 마을 입구
이웅재고가
전라북도 민속자료 제12호
전라북도 임실군 오수면 둔덕리 456-1
이 집은 이담손(李聃孫)이 조선 연산군 6년(1500)경에 지은 것을 여러차례 보수한 건물이다. 이담손은
태종의 둘째아들인 효령대군의 증손이며, 전주이씨로서는 둔덕리에 맨 처음 들어온 사람이다. 경사면을
축대로 쌓은 장방형의 대지에 자리한 이 집은 동남쪽을 향하여 안채, 사랑채, 대문채가 위치하고 있는
ㄷ 자형의 가옥이다. 사랑채는 일자 형으로 고종 1년(1864)에 기둥에 보를얹고 그 위에 마룻대를
세웠다는 기록이 있으며, 대문에는 고종 7년(1870)에 이문주(李文胄)에게내린 효자정문의 현판이
걸려있다. 대문도 이 때 새로 지은 것으로 보인다. 조선시대 이 지방사대부들의 주거생활의 일면을
엿볼 수 있게 해주는 집이다
대문 채
"이씨가문 의 선대에서 무슨 이유로, 다른 곳의 산수를 다 두고 이곳에 자리를 하였는지 알 까닭이 없었다. 다만, 낙향하여 토반이 된 문중의 대종가로 십오륙 대를 면면히 이어내려 온 몇 백년의 세월이 마을에 가라앉아 고여 있음을 느꼈다. 그리고 가문은 높았으나 벼슬에 탐욕하지 않았던 은사의 가르침이 그 세월 속에 땀내처럼 절어 있는 것도 느껴졌다."
[최명희,"혼불」중에서]
[생생문화재]는 무엇인가요?
지역의 닫히고 잠자고 있는 문화재의 고유한 가치와 의미를 새롭게 발견하고 오감체험 문화콘텐츠
프로그램 를 활용, 그 가치를 확산 향유 하는 문화재청 지원사업입니다.
오백년 종가와 함께하는 둔데기생생월령가는 무엇인가요?
지역 문화재이웅재고가를 활용. 봄, 여름, 가을 세시놀이를 통해 임실군 오수면 둔데기마을에 대하여
소개하고, 농경문화와 함께 공존하고 있는 종가 둔데기 Local School 삼계강사, 아회(雅會)이자
이상향의 공간으로서 삼계석문까지 완전한 하나의 공동체로서 그 가치를 찾아가는 월령별
시간여행 입니다.
농림축산식품부 농촌마을종합개발사업 의 일환으로 구축된 마을 방문자센터로
세미나실, 체험장, 마을학교운영 등 중추적 역할을 담당하고 있음
둔데기 방문자 센터
농림축산식품부 농촌종합개발사업의 일환으로 구축된 마을 방문자센터로 세미나실, 체험장,
마을교육 운영등 중추적 역활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다양한 체험운영
◎ 농산물 수확체험 :
딸기따기(4~5월), 블루베리따기(6월)자두따기(5-6월)감자캐기(6월) 고구마캐기(9~10월)
알밤줍기(9월~10월)김장체험(11~12월)
◎ 전통체험 :
전통쌀엿 만들기(12월-1 월) 한과만들기(연중) 달걀꾸러미만들기(10-2월)
오방실팔찌만들기(연중) 전통놀이체험(연중) 한지부채, 전통연 만들기
◎ 생태체험 :
텃밭체험(로컬푸드), 뒷간체험생태화장실, 민물고기잡이체험(연중)
자전거 발전기 체험, 지렁이 화분 만들기,
◎ 공예체험
비누만들기, 나만의 컵만들기, 한지소품 만들기, 목공예 만들기
◎음식체험(연중)
연잎밥만들기, 초코렛쿠키만들기, 블루베리잼 만들기, 딸기잼 만들기
아이스크림 만들기, 영양간식 양갱만들기
뒷간체험생태화장실
'여행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향교, 전주한옥마을 (0) | 2019.01.05 |
---|---|
광주호 호수생태공원, 충효동 왕버들 (0) | 2019.01.03 |
슬로시티. 담양 창평 (0) | 2019.01.01 |
통영 삼도 수군 통제영 (0) | 2018.12.31 |
혁신도시, 기지제 수변공원 (0) | 2018.12.29 |